20년 뒤 3천억 달러 시장으로... 에어버스가 점친 항공정비 시장의 미래
페이지 정보
작성자 브이오알 댓글 0건 조회 2회 작성일 25-10-11 10:25본문
올해 서비스 수요 10% 급증, 2044년까지 연평균 3.6% 성장 지속
디지털 솔루션으로 연간 830억 달러 운영비 절감 효과 기대
사진=에어버스
에어버스가 항공 서비스 시장의 장밋빛 미래를 제시했다. 향후 20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3천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다.
에어버스는 9일 글로벌 서비스 전망 보고서를 통해 전체 서비스 수요가 올해 전년 대비 10% 늘고, 2044년에는 3,11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연평균 3.6% 성장률에 해당한다. 전 세계 항공 여객이 올해 50억 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인 가운데, 2044년에는 승객 수가 100억 명으로 두 배 확대되고 글로벌 항공기도 49,000대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 시장은 크게 5개 핵심 부문으로 구성된다. 가장 큰 시장은 오프윙(엔진과 부품을 분리해 정비하는 방식) 부문으로, 2025년 1,070억 달러에서 2044년 2,180억 달러로 확대된다. 이 부문의 85%는 부품 공급이 차지한다. 온윙(항공기에 부품을 장착한 채 진행하는 일상 정비) 부문은 2025년 210억 달러에서 2044년 340억 달러 규모가 되며, 객실과 시스템 개조 및 업그레이드 부문은 120억 달러에서 170억 달러로 커진다.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일 분야는 디지털 및 연결성 부문이다. 2025년 90억 달러에서 2044년 260억 달러로 약 3배 가까이 팽창한다. 예측 정비와 연료 절감 비행 경로 등 스마트한 운영이 가능해지는 덕분이다. 교육훈련 시장도 100억 달러에서 170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2044년까지 파일럿 63만3천 명, 정비사 70만5천 명, 객실 승무원 101만 명 등 총 235만 명 이상의 항공 전문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어버스 고객서비스 수석 부사장 크리스티나 아길라르 그리더는 "디지털 솔루션이 운영자들의 규모 확장을 가능케 하는 진정한 배가 효과를 내고 있다"며 "디지털로 연결된 항공기가 현재 1만1천 대에서 2044년 4만 대 이상으로 늘면서 고객들에게 연간 830억 달러 이상의 운영 절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중국, 유럽 및 CIS, 북미가 2044년까지 최대 서비스 시장이 될 전망이다. 성장률 측면에서는 남아시아, 중국,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디지털 솔루션으로 연간 830억 달러 운영비 절감 효과 기대

사진=에어버스
에어버스가 항공 서비스 시장의 장밋빛 미래를 제시했다. 향후 20년간 꾸준한 성장세를 이어가며 3천억 달러 규모로 확대될 것이란 전망이다.
에어버스는 9일 글로벌 서비스 전망 보고서를 통해 전체 서비스 수요가 올해 전년 대비 10% 늘고, 2044년에는 3,110억 달러 규모에 달할 것으로 내다봤다. 이는 연평균 3.6% 성장률에 해당한다. 전 세계 항공 여객이 올해 50억 명으로 사상 최고치를 기록할 전망인 가운데, 2044년에는 승객 수가 100억 명으로 두 배 확대되고 글로벌 항공기도 49,000대 이상으로 늘어날 것으로 보인다.
서비스 시장은 크게 5개 핵심 부문으로 구성된다. 가장 큰 시장은 오프윙(엔진과 부품을 분리해 정비하는 방식) 부문으로, 2025년 1,070억 달러에서 2044년 2,180억 달러로 확대된다. 이 부문의 85%는 부품 공급이 차지한다. 온윙(항공기에 부품을 장착한 채 진행하는 일상 정비) 부문은 2025년 210억 달러에서 2044년 340억 달러 규모가 되며, 객실과 시스템 개조 및 업그레이드 부문은 120억 달러에서 170억 달러로 커진다.
가장 빠른 성장세를 보일 분야는 디지털 및 연결성 부문이다. 2025년 90억 달러에서 2044년 260억 달러로 약 3배 가까이 팽창한다. 예측 정비와 연료 절감 비행 경로 등 스마트한 운영이 가능해지는 덕분이다. 교육훈련 시장도 100억 달러에서 170억 달러로 확대될 전망이다. 2044년까지 파일럿 63만3천 명, 정비사 70만5천 명, 객실 승무원 101만 명 등 총 235만 명 이상의 항공 전문 인력이 필요할 것으로 예상된다.
에어버스 고객서비스 수석 부사장 크리스티나 아길라르 그리더는 "디지털 솔루션이 운영자들의 규모 확장을 가능케 하는 진정한 배가 효과를 내고 있다"며 "디지털로 연결된 항공기가 현재 1만1천 대에서 2044년 4만 대 이상으로 늘면서 고객들에게 연간 830억 달러 이상의 운영 절감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고 밝혔다.
지역별로는 중국, 유럽 및 CIS, 북미가 2044년까지 최대 서비스 시장이 될 전망이다. 성장률 측면에서는 남아시아, 중국, 아시아태평양 지역이 가장 높을 것으로 예상된다.
댓글목록
등록된 댓글이 없습니다.